광고학연구: 제 30권 2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30, No.2. (2019)
pp.49~78

DOI : 10.14377/KJA.2019.2.28.49

금연효능감과 프레임이 금연광고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흡연기간, 흡연량, 낙관적 편견 등 수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 하지영·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박사과정
  • 응웬 탄 마이·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박사과정
  • 정만수·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 문장호·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담배가 끼치는 유해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성 흡연율은 획기적으로 줄어들지 않고, 여성 흡연율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이다. 흡연자들은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에, 금연 커뮤니케이션 공익광고를 집행함에 있어 수용자들을 한 덩어리로 보고 일괄적으로 메시지를 집 행한 것도 효과성을 떨어뜨렸던 한 요인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흡연기간, 흡연량과 금연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금연효능감 및 메시지 프레임이 금연광고태도, 금연태도,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성별과 연령에 따라 흡연기간과 흡연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고 그러한 차이가 낙관적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금연효능감은 금연태도,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금연효능감이 높을수록 높 은 금연태도, 금연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메시지 프레임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 고,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흡연기간과 흡연량은 금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흡연기간이 길수록, 흡연량이 많을수록 낮은 금연효능감을 보였다. 성별, 연령, 흡연기간, 흡연량 은 낙관적 편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여성인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흡연기간이 짧은 경우, 흡연량이 적은 경우 낙관적 편견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금연광고 메시지를 집행 함에 있어 흡연자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 일조할 것이며, 흡연자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 여 금연광고 메시지를 집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금연광고 메시지,금연효능감,메시지 프레임,흡연기간,흡연량,낙관적 편견

A Study of 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nd Message Frame on Persuasion Effect of Smoking Cessation Message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essage Recipients Such as Smoking Period, Smoking Amount, Optimistic Bias

  • Ji-Young Ha
  • Thanh Mai Nguyen
  • Man-Soo Chung
  • Jang-Ho Moon
The hazards of cigarette smoking are well known,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lower the smoking rate worldwide.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 male smoking rate has not drastically decreased, and the female smoking rate is increasing. Since smokers have very diverse spectrum, it is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iorated effectiveness of carrying out message collectively in the execution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of smoking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duration, smoking amount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igarette smoking self-efficacy and message frame on non-smoking advertising attitude, smoking cessation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smoking period and smoking amou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examined whether such difference influences optimistic bi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effects on smoking cessation attitude and smoking intention. Higher cessation efficacy has higher smoking cessation attitude and higher smoking cessation intention. However, the message frame did not a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did not appear either. The duration of smoking and the amount of smoking significantly influence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The longer the cigarette smoking period and the higher the amount of cigarette smoking, the lower the cigarette smoking self-efficacy. Gender, age, duration of smoking, and cigarette smoking amount significantly influenced optimistic prejudice. In the case of female, lower age, shorter period of smoking and lower amount of smoking showed more optimistic prejud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essages should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mokers and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smokers.
Non-smoking Advertising Message,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Message Frame,Smoking Period,Smoking Amount,Optimistic Prejudice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