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2권 3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2, No.3. (2011)
pp.29~50

광고게임(Advergame)의 설득의도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와 광고게임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안순태·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광고홍보전공 부교수, 광고학박사
어린이의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 대상의 광고게임(advergame)이 인터넷에 늘어나고 있다. 광고게임이 어린이 식습관이나 건강에 미칠 부정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광고게임을 어떻게 이해하고 광고게임의 효과는 어떠한지에 관해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광고게임의 설득의도에 대한 이해, 식품구매의사, 그리고 광고게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험 조사하였다. 실험집단의 어린이들이 광고게임의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동안 통제집단의 어린이들은 행성에 관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하였다. 어린이들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한 간단한 숨은 그림 찾기 게임 후, 마지막으로 두 집단 모두 아이스크림 광고게임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린이들의 광고게임의 설득의도에 대한 탐지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주에 대한 인식이나 설득의도에 대한 이해는 미미하였고, 광고게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탈효과로 예측되듯이, 설득의도를 탐지한 어린이들은 관련식품에 대해 더 낮은 구매의사를 보여주었다. 설득지식모델이 이론적 틀로 사용되었으며, 어린이의 설득의도 탐지의 중요성과 적절한 인터넷 정책마련에 대한 논의가 도출되었다.
광고게임,어린이,설득지식모델,광고에 대한 이해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Persuasive Intent of Advergames and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Advergames

  • SoonTae Ann
As children’s usage of the Internet increases, so does the frequency of child-targeted advergames on the Internet. Despite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advergames on children's diet and health, few studies have systematically examined how children in South Korea understand advergam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se games affect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second and third graders' understanding of online advergames, their impact on food choices, and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advergames.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the educational program on advergames,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played a science education game on planets. As a distractor, children played a hidden catch game before all participants played an ice-cream advergame. Results showed that very few children recognized the commercial intentions of the advergame. Both the recognition of an advertiser’s existence and the detection of the persuasive intent were minimal, and the educational program on advergame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ose who recognized the persuasive intent were less likely to select the advertised food category, as the detachment effect predicts. Persuasion Knowledge Model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 shaping a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ecognition of persuasive intent and appropriate policy recommendations.
Advergames,Children,Persuasion Knowledge Model,and Understanding of Advertising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