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2권 5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2, No.5. (2011)
pp.235~261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 무드(mood) 방향성 및 각성(arousal) 수준을 중심으로

  • 강찬희·국민대 대학원 광고학 석사
  • 이종민·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광고학박사
본 연구의 목적은 무드 방향성 및 각성수준이 동시에 고려된 ‘통합된 무드상태’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후태도변화량 및 광고 메시지 회상율을 종속변인으로, 무드 방향성(긍정/부정) 및 각성수준(고/저)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된 무드 상태’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4×2 요인설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된 무드 상태’와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부정무드 및 각성상태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광고 메시지 회상율에 대해서는 ‘긍정무드/저각성’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메시지 프레이밍,무드 방향성,각성수준

Effects of the Integrated Mood State (Mood Valence Plus Arousal Level) on Advertising Message Framing

  • Chan Hee Kang
  • Chong Min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mood state, simultaneously considering mood valence and arousal level, on advertising message framing. For this, a 4(positive mood/high arousal vs. positive/low vs. negative/high vs. negative/low) x 2(positive framing vs. negative framing) factorial design was constructed. Post-attitude change and the ad message recall were employed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findings, an effect of the integrated mood state was shown to be significant on the advertising message framing. But no significant message framing effect was found in the condition of negative mood regardless of arousal level. In addition, message framing effects was not shown to be significant in all other conditions except the condition of positive mood/low arousal with the respect to ad message recall.
Message Framing,Mood,Arousal Level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