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2권 6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2, No.6. (2011)
pp.127~159

한국 사회공헌활동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 1997년부터 2010년까지 주요 학술지 분석

  • 배지양·대구가톨릭대 언론광고학부 조교수, 언론학박사
  • 조수영·경희대 언론정보학과 부교수, 언론학박사
한국의 사회공헌활동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1997년부터 2010년 6월까지 <광고연구>,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한국언론학보>, <홍보학연구>, 및 <한국언론정보학보>에 게재된 사회공헌활동 관련 연구를 수집한 결과, 총 58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시행한 결과, 2005년을 기점으로 CSR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 였다. 하지만, 이러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4편 이상 꾸준히 CSR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이 적어 향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대부분의 저자들이 광고/홍보분야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무자들의 연구 참여가 미비하여 편중된 발전을 이끌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공과 소속을 가진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연구주제 측면에서 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효과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자기 성찰적 논문 등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통해 질적 성장을 이끌어 내야 하겠다. 연구에 채택된 변수들을 분석해 본 결과 구매의도 등 광고/마케팅 관련 변수들이 자주 채택되어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중들과의 관계(가령 구직의도, 투자의도 등) 등을 연구하여 CSR활동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탐구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이론에 기반을 둔 연구가 적어 향후 연구에서는 체계화된 이론화작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실험이나 서베이에 국한된 연구방법론을 다양화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사회공헌활동,내용분석

Trends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Research : Content Analysis of Major Korean Journals from 1997 to 2010

  • Bae, Jiyang
  • Cho, Sooyoung
To analyze CSR research trends and produc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content- analyzed 58 articles of six major Korean journals from 1997 to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qualitative development needs to be accomplished in spite of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area since 2005. For example, few CSR scholars have published more than 4 articles related to the field and most researchers came from advertising or public relations fields. To attract more diverse and practical ideas, Practitioners, graduate students, and scholars from other disciplines need to participate in the area. Also, marketing oriented variables, such as purchase inten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variables in the domain. Future researchers need to make more efforts for showing multi-faceted outcomes of CSR activities by adopting various variables. These efforts will lead more interest from profit companies into the CSR domain. Finally, utilizing more theories in building research models and juxtapo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required to enh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results of the area.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ontent Analysis,CSR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