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3권 5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3, No.5. (2012)
pp.255~276

광고인 양성 및 광고인식 개선을 위한 광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요 연구 : 광고인, 예비광고인, 비광고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차유철·우석대학교 광고이벤트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 이희복·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광고학박사
  • 신명희·에이엠피알 M&C연구소 소장, 언론학박사
광고산업은 개인적 역량이 강하게 드러나는 산업일 뿐 아니라 철저히 인력에 의존하는 산업이다. 따라서 광고산업의 진흥은 능력있는 인력의 양성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광고교육과 광고인식 개선을 위한 광고활용교육에 대한 광고인, 예비광고인, 비광고인들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광고교육방식에서는 광고인들과 비광고인들은 강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데 비해, 예비광고인은 현장견학을 선호하였다. 또한 광고교육의 운영방식은 모든 집단에서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에서 시행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광고인증제와 광고이해력 테스트에 대해서는 광고인 집단은 예비광고인과 비광고인 집단에 비해 필요성을 낮게 평가하였다. 사회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광고활용교육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에서 일반인들을 교육의 주요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고, 강의내용도 광고활용사례가 적합하다는 의견이었다. 교육 분야에 대해서는 광고인들과 비광고인들이 광고인식 개선에 초점을 둔데 비해 예비광고인들은 광고활용에 더 비중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 집단에 따라 광고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각 집단에 실시하는 광고교육 방식과 목표를 판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광고교육,광고활용교육,광고산업진흥,광고인증제,광고이해력 테스트,광고인,예비광고인,비광고인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demand for Advertising Education to foster advertising personnel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advertising

  • Cha, Youcheol
  • Lee, Heebok
  • Shin, Myounghee
Advertising is an industry which reveals individual competence much more than other industries, and depends thoroughly on brain-wa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advertising education to cultivate ad personnel of professional ability and advertising in education(AIE) to enhance understanding for advertising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3groups; advertising persons, prospective advertising persons, and non-advertising persons. As a result, advertising persons and non-advertising persons preferred lecture type education, while prospective group preferred on-the-spot-study. All groups preferred off-line education to on-line education. Ad persons undervalued advertising certification system and advertising understanding test compared with non-ad persons and prospective groups. In AIE(Advertising in education), a social education program, all groups regarded the general public as the main target, and advertising case study would be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m. Ad persons and non-ad persons focused on improving citizen's understanding of advertising, but prospective group gave weight to application of advertising.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re were perceptual differences about advertising education among the groups, and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decide advertising education goals and methods according to groups.
advertising education,AIE(advertising in education),advertising industry improvement,advertising certification system,advertising understanding test,advertising person,prospective advertising person,non-advertising person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