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5권 6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5, No.6. (2014)
pp.105~133

연령과 인지욕구가 스마트폰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스마트폰 의존도, 앱 활용도, 앱 호감도, 사생활침해 우려, 광고회피행동을 중심으로

  • 정만수·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모바일 광고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마케팅의 중심이 인터넷 웹사 이트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옮겨가고 있다. 스마트폰과 모바일 광고가 대폭 증가하였으나 개 인정보의 유출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안도 늘고 있다. 신용정보의 유출은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광고 시장에 중대한 위협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행동은 연령별로 차이가 있으며, 인지욕구와 같은 개성변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스마트 폰 사용시간과 의존도, 앱 활용도와 호감도, 모바일 광고에 대한 회피행동, 사생활 침해 우려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보면,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연령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40세를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의 스마트폰 사용행태가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 록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고,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또한 자주 사용 하는 스마트폰 앱 갯수가 많고, 스마트폰 앱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와 모바일 광고에 대한 회피행동은 연령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인지욕구가 높을수록 앱 활용도와 앱 호감도는 높으며, 모바일 광고에 대한 회피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해 연령과 인지욕구가 상호작 용효과를 보였는데,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은 연령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의존도가 거의 일정 한 수준을 보이는 반면,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은 저연령일 때에는 높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보이다가 40대 이상이 되면 스마트폰 의존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자주 사용하는 스 마트폰 앱 갯수도 많아지며, 앱 호감도가 높았다. 또한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사람은 앱에 대한 호감도가 매우 높으며, 앱 호감도가 높으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 갯수도 많았다. 스마트폰을 통한 사생활 침해를 우려하는 사람은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되는 광고성 문자메 시지를 바로 삭제하거나, 수신 거부하거나, 스팸 신고를 하는 등 적극적인 회피행동을 보이 는 경향이 높았다.
모바일 광고,스마트폰 의존도,앱 활용도,앱 호감도,사생활 침해 우려,모바일 광고 회피행동,인지욕구

The Effects of Age and Need for Cognition on Smart Phone Using Behavior : A Study of Smart Phone Dependency, Mobile Application, Privacy Concern, and Mobile Ad Avoidance

  • Man-Soo Chung
The rapid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offers advertisers greater communication opportunities to consumers. The ad platform is moving toward the mobile application from the web site. Despite potential capabilities of smart phones as a useful advertising tool, privacy concern toward ad messages has been an obstacle for adopting of mobile advertising widely. The situation is getting worse due to recent leakage of consumer information from major credit cards and bank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veral factors regarding smart phone usages--smart phone using time, smart phone dependency, mobile applications, privacy concern and mobile ad avoid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g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using hours and dependency on smart phones, usages and attitudes toward smart phone applications. However, age turns out to be not a major factor regarding privacy concern and mobile ad avoidance. Those who are high in need for cognition tend to use more smart phone applications, show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applications and higher mobile ad avoidance. Using time of smart phon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ts dependency, number and attitudes toward applications. The higher smart phone dependency, the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applications as well. Those who are high in privacy concern tend to be high in mobile ad avoidance.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need for cognition on smart phone dependenc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While those who are high in need for cognition showed a constant level, those who are low in need for cognition showed high dependency on smart phone before the age of 40, however, smart phone dependency decreased sharply after 40.
Mobile Ad,Mobile Application,Mobile Phone Dependency,Mobile Ad Avoidance,Privacy Concern,Need for Cognition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