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5권 7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5, No.7. (2014)
pp.139~160

공감 커뮤니케이션 모형

  • 김항중·대전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부교수, 교육학 박사과정수료
  • 남승규·대전대학교 산업・광고심리학과 교수, 심리학박사
이 연구는 공감능력, 공감모듈 및 공감화법에 기초한 공감커뮤니케이션모형(SCM)을 제안하 고, 공감능력과 공감모듈 및 공감화법이 교감, 만족, 및 행복과 같은 심리적 반응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50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공감모듈, 공감화법과 같은 공감커 뮤니케이션모형의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교감, 만족, 행복 및 불행과 같은 공감심리반응에 대 한 척도들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하여 웹기반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먼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계수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 증은 t 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감능력에 따라서 공감심리반응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Ⅰ과 “공감모듈에 따라서 공감심리반응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Ⅱ 그리고 “공감화법에 따라서 공감심리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 다.”라는 가설 Ⅲ이 지지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공감능력, 공감모듈 및 공감화법의 차이는 없지만, 공감능력과 공감모듈 및 공감화법에 따라서 공감심리반응이 달라진 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공감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높이고, 이 성적 공감모듈을 사용하며, 배려적인 공감화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끝으 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공감커뮤니케이션모형,공감능력,공감모듈,공감화법,공감심리반응

Sympathetic Communication Model

  • Kim, Hang-Joong
  • Nam, Seung-Ky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ympathetic communication model(SCM) and to examine effects of sympathy capacity, sympathy module and sympathy talking on sympathetic psychological responses. In this survey, data was taken from 250 adults living in Seoul and 6 major cities in Korea with web-based research tool.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data was analyzed with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for hypothese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Ⅰ(There are going to be differences in sympathetic psychological responses by sympathy capacity), Hypothesis Ⅱ (There are going to be differences in sympathetic psychological responses by sympathy module) and Hypothesis Ⅲ(There are going to be differences in sympathetic psychological responses by sympathy talking) were all supported. Also, There were not differences in sympathy capacity, module, and talking by sex and there were not differences in sympathy capacity, module, and talking by age group. These finding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sympathize with others so as to increase satisfaction, happiness, unhappiness, and engagement, and it points out that psychological matching action plan which based on sympathy model is necessar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Sympathetic Communication Model,Sympathy Capacity,Sympathy Module,Sympathy Talking,Sympathetic Psychological Responses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