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25권 8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5, No.8. (2014)
pp.7~33

1990년 창간호부터 2014년 25권 5호까지의 내용분석과 연구동향

  • 한상필·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교수, 광고학 박사
  • 이형석·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조교수, 광고학 박사
본 연구는 1990년 창간호부터 2014년 5호까지 25년간 ‘광고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197편을 5년 단위로 나누어 시기별 연구동향을 내용분석, 향후 광고학이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기별 연구자 특성면에서 살펴 볼 때, 지난 25년 동안 총 925명의 연구자가 1,197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광고학, 경영학, 신문방송학 전공 출신의 저자 비율이 80%였다. 초기 연구들의 상당수는 단독으로 연구되었지만, 점차로 공동연구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논문의 내용면에서 보면 초기를 제외한 최근 논문의 대부분은 실증연구였으며,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주제는 광고와 소비자행동, 광고 크리에이티브, 비 전통광고매체 순이었다. 셋째, 논문의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서베이, 실험연구와 같은 양적연구가 70% 이상을 차지한 반면,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연구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상위 다섯 개 통계분석기법은 변량분석, 빈도/비율, t-테스트, 요인분석, 회귀분석 순이었다. 넷째, 광고학연구에 실린 거의 모든 논문이 참고문헌을 포함하였으며, 평균 38.3 개의 참고문헌을 인용하였고, 국외 참고문헌 의존도가 국내에 비하여 약 27%정도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표집방법에 있어서 편의표집한 연구가 전 시기에 걸쳐 압도적으로 많았고, 과반수 이상의 연구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광고학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고학연구,광고문헌,내용분석,광고연구동향,시기별 비교 분석

A Content Analysis of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s Research Trends: A Twenty-Five Year Appraisal from 1990 to 2014

  • Sangpil Han
  • Hyung-Seok Lee
This study appraised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by content-analyzing a total of 1,197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25 years from 1990 to 2014. The findings showed that about 80% of the researchers’ academic majors were advertising, marketing, 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Also,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co-authored studies.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 was ‘advertising and consumer behavior’, followed by ‘advertising creativity’, and ‘advertising media-non-traditional media’.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including surveys and experiments outnumbered qualitative research (70% vs. 30%)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 followed by frequency/ratio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number of references per article was 38.3 and foreign references were used 27% more than Korean references. The number of articles using a convenience sample was dominant and university students were most used sample group participants. The study close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Advertising Literature,Content Analysis,Research Trend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