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33권 2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33, No.2. (2022)
pp.103~131

DOI : 10.14377/KJA.2022.2.28.103

코로나19 위기 소통 대국민 평가 지표 개발연구

  • 김수진·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겸임교수
  • 차희원·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감염병 위기 소통에 대한 대국민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감염병 위기 소통 평가지표를 코로나19 상황에 적용하여 대국민 평가의 중요성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대국민 평가지표 개발의 이론적 근간으로 논리모델을 적용하여 코로나19 위기소통의 결과를 단 기, 중기, 장기로 구분했다. 대국민 평가지표 도출을 위해 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 이를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신뢰 도와 타당도를 검토했다. 분석 결과, 대국민 평가지표는 3가지 단계로 구분되었다. 1단계는 단기 효과로 메시지 노출, 메시지 이해, 메시지 선호에 대한 것이다. 2단계는 중기효과로 코로나19 지 식, 보건당국의 위기소통원칙에 대한 공감, 정보효능감, 불확실성과 루머신뢰에 대한 것이다. 3단 계는 장기효과로 정보갭, 건강행동의도, 조직 소통의 질, 기관 명성, 정책지지에 대한 것으로 나 타났다. 단기, 중기, 장기효과 간의 인과관계가 검토되었는데, 코로나19 위기소통 메시지 노출과 이해, 선호가 높을수록 코로나19 지식, 위기소통원칙에 대한 공감과 정보효능감이 높아진 반면 불확실성과 루머 신뢰는 낮아졌다. 또한 코로나지식과 위기소통원칙에 대한 공감과 정보효능감 이 높을수록 정보갭이 줄어들고, 건강행동의도가 높아지며, 보건당국의 소통의 질과 보건당국의 명성을 우수하게 인지하며 정책지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루머신 뢰가 감소할수록 장기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민이 평가하는 위기소통에 대한 논의를 더하여 대국민 평가지표를 구성하고 표준화된 지표로 적용 가능한 항목을 정리함으 로써 위기 소통과 소통평가에 대한 논의를 통합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위기소통 평가지표,논리모델,단기효과,중기효과,장기효과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Evaluation Index for COVID-19 Crisis Communication

  • Soojin Kim
  • Heewon Ch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ublic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us disease crisis commun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public evaluation by applying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communication evaluation index to the COVID-19 situation. Theoretically guided by a logic model, the development of public evaluation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COVID-19 crisis communication were divided into short-term, interim, and long-term effec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800 general public to derive evaluation indicator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were don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the public evaluation index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hort-term, interim and long-term was found. The higher the exposure,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the COVID-19 crisis communication message, the higher the sympathy and informational efficacy of COVID-19 knowledge and crisis communication principles, while the uncertainty and confidence in rumors de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COVID-19 knowledge and the information efficacy, the smaller the information gap, the higher the health behavior intention, the better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of the health authorities and the better the reputation of the health authorities, the higher the policy suppo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s the discussion of crisi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evaluation by composing public evaluation indicators by adding to the discussion on crisis communication evaluated by the public and arranging applicable items as standardized indicators.
Crisis communication evaluation index,Logic model,Short-term effect,Interim effect,Long-term effect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