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정보원 유형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의 후속 연구 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의 정보원 유형에 대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조사(15명), 예비조사(50명), 본조사(500명)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정보원 유형 콘텐츠 차원에서는 ‘대리만족형’ 7항목, ‘정보전 달형’ 7항목, ‘드라마형’ 6항목, ‘참여유도형’ 5항목, ‘정서공감형’ 5항목 등 총 5개 요인의 30개 측정항목이 개발되었다. 채널 차원에서는 ‘가상형’ 6항목, ‘커머스형’ 7항목, ‘브이로그형’ 5항목, ‘논페이스형’ 4항목, ‘협찬형’ 4항목 등 총 5개 요인의 26개 측정항목이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총 2개 구성 차원의 10개 하위 요인에서 56개의 측정항목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정보원 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인플루언서 선정 과정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이를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특히 본 연구는 다양한 콘텐츠 유형과 채널 특성을 토대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유형,콘텐츠 차원,채널 차원,척도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nstruct Dimensions Scale for the Social Media Influencer Type
Hyeyoung Kim
Dongsup Youm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ollow-up to an exploratory study to conceptualize social media influencer source typ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social media influencer source typ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is was accomplish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 expert survey(n=15), a preliminary survey(n=50), and a main survey (n=500).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ntents dimension, 30 measurement items of 5 factors were developed, including 7 items of vicarious satisfaction type, 7 item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6 items of drama type, 5 items of participation-inducing type, and 5 items of emotional empathy type. And in the channel dimension, 26 measurement items of 5 factors were developed, including 6 items of virtual type, 7 items of commerce type, 5 items of vlog type, 4 items of non-face type, and 4 items of sponsor type. This resulted in a total of 56 measurement items from 10 sub-factors of the 2 construct dimensions.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is that by developing a systematic measure of social media influencer source types,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influencer selection process and lays the groundwork for its expans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practical tool tha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fluencer marketing based on various content types and channel characteristics.
Influencer Marketing,Social Media Influencer Types,Contents Dimension,Channel Dimension,Scal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