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광고 음악의 제작 주체(AI vs 인간)와 해당 정보의 고지 시점(사전 vs 사후)이 광 고 수용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수용자의 인지적·정서적 평가 를 기반으로 유형화된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 결과, 제작 주체와 고 지 시점이 광고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도출된 세 개의 군집(‘감정 몰입형’, ‘냉담 저반응형’, ‘중립 수용형’)은 군집별로 광고 태도, 광고 음악 태도, 광고 신뢰성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각 집단별로 광고 음악의 독 창성, 감정적 울림, 긍정 감정, 부정 감정과 같은 인지적·정서적 평가 요인이 광고 태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고,광고음악,AI 제작 광고,고지,군집분석
Audience Responses to Advertising Music Production Sources and Disclosure Timing : A Cluster Analysis Approach
Song, Young-A
Lee, Chanjoo
Lee, Hyein
Cho, Yujin
Moon, Jangho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production source of advertising music (AI vs. human) and the timing of disclosure (prior vs. post-exposure) on audience responses. Additionally, it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audience groups segmented based on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s of advertising music.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duction source and disclosure timing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udience responses. However,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distinct groups —“Emotionally Immersed,” “Cold Low-Response,” and “Neutral Acceptance”—which exhibited clear differences in advertising attitude, advertising music attitude, and perceived advertising credibility. Furthermore,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 factors such as originality, emotional resonance,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advertising attitudes within each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