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36권 4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36, No.4. (2025)
pp.145~164

DOI : 10.14377/KJA.2025.8.31.145

광고판매대행 사업이 창출하는 후생효과 추정 : 광고주의 의견을 중심으로

  • 변상규·호서대학교 문화영상학부 교수
  •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국내 광고시장은 경제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축된 모습을 보이며, 다매체⋅다채널 환 경이 본격 조성됨에 따라 재원 부족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미디어 환경 변화 에 부응하지 못하는 광고 규제, 특히 허가 미디어렙의 업무영역을 방송광고로만 제한하는 칸막 이 규제의 해제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광고주를 대상으로 진술 선호 조사를 시행하고 컨조인트 분석을 적용하여, 미디어렙이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의 편 익을 정량적으로 추정했다. 분석 결과, 미디어렙이 1억 원의 광고를 판매할 때 방송광고 판매대 행은 광고주에게 466.6만 원, 디지털광고 판매대행은 434.8만 원의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크로스미디어렙을 허용해 방송광고와 디지털광고를 통합 판매할 경우, 광고주에게 제공되는 편익이 현재보다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광고 거래의 효율 성 증대 및 시장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이다. 또한, 미디어 기획 서비스는 325.1만 원의 추가적인 효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미디어렙이 단순 판매대행을 넘어 통 합적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규제를 개선함으로써 국내 광고시장의 확대를 유도하고 광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광고주의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책적 근거를 제시한다. 나아가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허가 미디어렙이 수행해야 할 공적 역할 확대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고판매대행,광고규제,컨조인트 분석,크로스미디어렙,광고시장 효율성,광고주 후생

Strategies for Expanding the Advertising Market through Welfare Effect Estimation of Advertising Sales Agency Businesses

  • Sangkyu Byun
  • Shinkyu Kang
The Korean advertising market remains relatively stagnant compared to the overall size of the national economy, and with the rapid establishment of a multi-media, multi-channel environment, the shortage of advertising revenue is becoming increasingly severe. This situation clearly indicates the need for reforming advertising regulations that are unable to respond to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restrict on licensed media representative (media rep) companies to handling only broadcast advertising. This study conducted a stated preference survey targeting advertisers and applied a conjoint analysi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benefits of key services provided by media rep agenc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for every KRW 100 million in advertising sales, broadcast advertising sales agencies provide advertisers with a welfare benefit of KRW 4.666 million, while digital advertising sales agencies offer a benefit of KRW 4.348 million. This suggests that if cross-media rep operations were permitted—allowing integrated sales of broadcast and digital advertising—the welfare benefits for advertisers could nearly double compared to current levels. Such a change would direc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dvertising transactions and revitalizing the market. Additionally, the analysis found that media planning services offer an additional benefit of KRW 3.251 million, confirming the potential for media rep to evolve beyond simple sales representatives into providers of integrated marketing solu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olicy justification for regulatory improvements aimed at expanding the domestic advertising market,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increasing advertiser welfare. Furthermore, it offers a foundation for discussions on the need to broaden the public service roles of media rep agencies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Advertising sales agency,Advertising regulation,Conjoint analysis,Cross-Media representative,Advertising market efficiency,Advertiser welfare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