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자들은 ‘불쾌한 골짜기’ 가설과 ‘Big Five’ 개성 척도를 연계하여, AI로 제작한 동영상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다층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시청각 요소들에 대해 지각된 부자연스러움이 수용자들 내에서 불쾌감을 유발하는 과정과 그것이 수용자의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순수 AI로 제작한 환경 보호 관련 공익 광고를 성인 300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통해 제시했으며, 이어 부자연스러움, AI 제작 인식, 불쾌감의 수준 및 원인, 응답자 특성, 설득 효과 등의 반응을 수집했다. 일련의 회귀분석 결과, 시청자가 느낀 불쾌감은 시각적 부자연스러움 뿐 아니라, 청각적 부자연스러움에 의해서도 확연히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신경성이나 개방성 같은 응답자의 개성 요인들이 외 생변인으로서 불쾌감을 경험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불쾌감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도 독립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광고태도는 통념대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이었고, 이 관계 역시 응답자 특성 요인들에 의해 다각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컨대, 본 연구는 설득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인간-AI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통찰과 함께, 효과 적인 AI 광고 제작을 위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생성형 AI,불쾌한 골짜기,개성,광고태도,행동의도
The Eeriness of AI-generated Video Advertisements: An Exploration of Its Causes, Consequences, and The Influence of Audience Characteristics
Liu Yue
Taeyong Kim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responses to AI-generated video ads, integrating the Uncanny Valley hypothesis with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It focused on how perceived unnaturalness in audiovisual elements creates discomfort, influencing viewers’ advertising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the study, 300 adults viewed an AI-produced public service announcement on environmental protection via an online survey.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viewer discomfort was primarily triggered by auditory unnaturalness, while the direct impact of visual unnaturalness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Furthermore, personality factors such as neuroticism and openn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discomfort. These traits also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how discomfort impacted advertising attitudes. Confirming established theories, ad attitud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ehavioral intention, a relationship also found to be multi-dimensionally influenced by respondent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offers theoretical insights for human-AI interaction and provides practical guidance for effective AI ad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