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연구: 제 36권 5호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36, No.5. (2025)
pp.7~39

DOI : 10.14377/KJA.2025.10.31.7

유튜브 인플루언서 광고의 투명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 분석

  • 정태영·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박사과정
  • 황장선·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유튜브 인플루언서 광고 콘텐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광고 투명성은 대체로 ‘광고 고지 (ad disclosure)’에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광고 고지의 유형 및 투명성 수준 의 다양성에 비하여 단순히 유-무 또는 저-고 등의 고지 수준 차이에 의한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에 기존 연구 노력이 집중되어 왔다. 기존 연구들의 결과는 일관된 양상을 보여주지 못하고, 다소 논쟁적인 상황이며, 이는 각 연구들의 광고 고지 수준에 대한 상이한 처치도 원인으로 작용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 고지의 수준을 저-중-고 등으로 유형화하고, 이 들의 차이에 따라 인플루언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실제적 반응이 어떻게 다르게 나 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광고 고지(‘중’수준)를 채택한 콘텐츠들이 여러 광고 효과 지표에서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들을 이끌어 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이는 광고 효 과의 향상을 위해 단순히 광고 고지를 낮게 또는 높게 할 것인지를 검증한 선행 연구의 제한적 인 결과를 보다 세부화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광고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광 고 고지의 이상적인 수준이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중장기적 광고 효과의 증대를 위해서 는 과잉 고지나 불충분한 고지보다는 적정한 수준의 광고 고지가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향후 연 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광고 고지의 유형 및 수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유튜브 인플루언서 광고,광고 고지,메가 인플루언서,마이크로 인플루언서,소비자 댓글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Responses to the Transparency of YouTube Influencers’ Advertising

  • Taeyeong Jeong
  • Jang-Sun Hwang
Advertising transparency, a key factor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YouTube influencer advertising content, is largely affected by ad disclosures. However, despite the diversity of disclosure types and levels of transparency, existing literature primarily focused on examining the effects of simple dichotomous differences—such as the presence versus absence or low versus high levels of disclosur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and often controversial, which may be partly due to the differing operationalizations of disclosure levels across stud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lassified ad disclosure levels into three categories as low, medium, and high, and examined how consumers’ actual responses to influencer advertising content varied across these levels. The findings reveal that content adopting YouTube’s standard ad disclosure format (medium level) generates more positive consumer responses across multiple advertising-effect indicators. This is noteworthy, as it refines previous findings that merely compared low and high disclosure levels, suggesting that there may be an optimal level of disclosure that positively contrib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for long-term advertising effectiveness, an appropriate level of ad disclosure—rather than excessive or insufficient disclosure—appears to be most desirable.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explore a wider range of disclosure types and levels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se dynamics.
Influencer advertising,Ad disclosure,Mega influencer,Micro influencer,Consumer replies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