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ol.12 no.1 pp.83-101
광고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AD Effect Model ( ADEM )
ADEM - Advertising Decision Support System
vol.12 no.1 pp.103-130
조작광고의 수사적 , 윤리적 그리고 논리적 허용 기준에 관한 고찰
Examining pathos, ethos, and logos in manipulative advertising
vol.12 no.1 pp.131-149
vol.12 no.1 pp.151-172
vol.12 no.1 pp.173-197
휴대폰 광고의 경고문구에 대한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warning labels on cellular phones in Korea
vol.11 no.4 pp.7-22
vol.11 no.4 pp.23-50
vol.11 no.4 pp.51-63
브랜드개성의 FCB 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brand personality based on the FCB grid model
vol.11 no.4 pp.65-85
vol.11 no.4 pp.87-107
위협 소구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 인지욕구와 관여도의 조절 역할
The message framing effect on fear appeal persuasion
vol.11 no.4 pp.109-133
플로우 ( flow ) 의 경험집단과 인터넷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group of experience of flow and internet advertising effect
vol.11 no.4 pp.135-164
vol.11 no.4 pp.165-185
vol.11 no.4 pp.187-209
vol.11 no.4 pp.211-229
vol.11 no.4 pp.231-249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vol.11 no.3 pp.7-34
vol.11 no.3 pp.29-60
광고 패러독스 문채의 의미작용방식
Paradox's way of meaning in print ads
vol.11 no.3 pp.61-80
vol.11 no.3 pp.81-108